<이원호의 경제톡> 美조선 산업 재건 노력의 의미

첨단기술서 세계 선도한 美, 기초 부실로 산업 ‘휘청’  
기초 체력 되살리려는 MASGA 노력 모든 산업 적용
빅터뉴스 2025-08-11 17:49:26
1986년 1월 28일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는 전 세계의 이목을 받았다. 이날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발사되었다. 탑승자 중에는 최초의 교사 우주인인 크리스타 맥얼리프가 포함되어 있어 미국의 꿈과 교육의 가능성을 상징했다. 하지만 챌린저호는 발사 73초 만에 하늘에서 폭발했고, 7명의 승무원 전원이 목숨을 잃었다. 후일 밝혀진 사고 원인을 보면 단순한 기술적 실패가 아니었다. 그 이면에는 미국 산업 구조의 근본적 취약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사고 원인은 고체로켓 부스터의 고무 O-링 결함이었다. O-링은 SRB의 연료 탱크를 밀봉하는 단순한 고무 부품으로, 저온에서 경직되어 연료 누출을 막지 못해 폭발로 이어졌다. 문제는 이 결함이 예견된 것이었다는 점이다. NASA의 부품 공급업체인 모튼 티오콜(Morton Thiokol)은 이미 O-링의 저온 취약성을 경고했으며, 기술자들은 발사 연기를 권고했다. 그러나 NASA 내부의 경직된 의사결정 구조는 이러한 경고를 묵살했다. 결과적으로 단돈 몇 달러의 O-링 하나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첨단 우주 프로그램을 붕괴시킨 것이다.

이 사건은 미국 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 1980년대 미국은 반도체, 컴퓨터, 우주개발 등 첨단기술에서 세계를 선도했지만, 볼트, 너트, O-링 등과 같은 이른바 소부장 산업은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챌린저호의 추락은 단순한 우주선 사고가 아니라, 기초를 소홀히 한 기술 낙관주의의 붕괴였다.

그런데 약 40년 뒤 비슷한 비극이 바다에서 되풀이되었다. 지난해 5월 미 해군 핵추진 잠수함 USS 헬레나에서 기술병 티머시 샌더스가 감전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단순한 인적 실수가 아니었다. 미 해군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40% 이상의 함정이 평균 30년 이상 노후화되었으며, 정비 인력은 2010년 대비 15% 감소했다. 이로 인해 미 해군 함정은 만성적인 정비 부족과 설비 노후화로 위험에 노출되었다. 샌더스의 죽음은 군기 문란이나 개인적 부주의가 아니라, 노후화된 장비와 부족한 지원 체계라는 시스템적 붕괴의 결과였다.

두 사건은 ‘첨단 시스템은 기초 위에 세워진다’는 점을 간과한 공통된 문제를 지닌다. 챌린저호의 O-링처럼, USS 헬레나의 전기 시스템도 작은 결함이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후자는 미국 조선 산업의 쇠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1980년대 600척에 달하던 미 해군 함정은 2025년 현재 290척 수준으로 줄었고, 조선소의 생산 능력은 2023년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는 중국(50%)과 한국(25%)에 크게 뒤처지는 수치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이 바로 MASGA(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다. 약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구상으로, ▲미국 내 조선소 신설·현대화 ▲선박 정비·유지 능력 확충 ▲숙련 인력 양성 등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정부는 존스법(Jones Act) 완화, 내항 운송 참여 허용 등 제도 개혁을 병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과 미 해군 보급·지원선 건조와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했다. MASGA의 목표는 단순한 생산량 확대가 아니라, 쇠퇴한 미국 조선 산업 기반을 재건하고 동맹 기술력과 결합해 해양 안보와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것이다.
이원호 박사


챌린저호의 비극과 USS 헬레나 사건, 그리고 MASGA의 출현은 첨단 기술의 미래는 기초 산업의 견고함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고무 링 하나, 철판 한 장의 품질이 거대 시스템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이다. 한국이 미국의 조선 파트너로 주목받는 이유도 단순한 가격 경쟁력을 넘어, 수십 년간 다져온 공급망 안정성과 숙련 기술이 동맹국의 안보까지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의 조선 산업은 선박 설계, 고강도 강철 생산, 정밀 용접, 품질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작은 부품 하나가 시스템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챌린저호의 교훈, 그리고 그 붕괴를 막기 위해 기초 체력을 되살리려는 MASGA의 노력은 오늘날 모든 산업에 적용되는 경고이자 해법이다. 하늘과 바다는 물론이고 지상에서도 튼튼한 기초가 바로 미래를 지키는 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원호 비즈빅데이터연구소장(경제학 박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美조선 산업 재건 노력의 의미

1986년 1월 28일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는 전 세계의 이목을 받았다. 이날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발사되었다. 탑승자 중에는 최초의 교사 우주인인

"공익신고자 코스프레"

지난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당시 대통령실이 지지자들을 체포 저지에 동원하려 했다는 폭로가 터져나왔다. 보수 유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