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N] 지난해 제조업 국내공급 감소... 통계 작성 이래 최초

통계청 발표 ‘2018년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 동향’
전년 대비 0.1%↓
반도체, 건설 부진 여파.. 금속가공, 기계장비 공급 줄어
2019-02-12 14:50:58

지난해 국내 시장 제조업 제품 공급총량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18년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제조업 국내공급은 전년 대비 0.1%가 감소했다.

제조업 국내공급이 마이너스가 된 것은 2010년 통계작성을 시작한 후 처음이다. 종전 최저치는 2012년의 0.4%였다.

제조업 국내공급은 내수 시장에 풀린 제조업 물품 총량 지표로, 기업이나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최종재와 중간재를 모두 포함한다.

제조업 국내공급(표=통계청)
제조업 국내공급(표=통계청)

최종재 국내공급은 전년 대비 0.5% 증가했지만, 중간재는 0.4% 감소했다.

소비재는 국산(0.1%)과 수입(6.2%)이 모두 늘며 1.6% 증가했지만, 자본재는 국산(-0.1%)과 수입(-3.6%)이 모두 줄어 1.2% 감소했다.

재별 국내공급(표=통계청)
재별 국내공급(표=통계청)

식료품, 전자제품 등이 늘며 수입이 2.6% 증가하는 동안, 국산은 금속가공, 기계장비 등이 줄어 1.0%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식료품은 국산(2.3%)과 수입(16.2%)이 모두 늘어 전년 대비 5.2% 증가했지만, 금속가공은 국산(-6.9%)과 수입(-3.6%)이 모두 줄어 전년보다 6.6% 감소했다.

기계장비도 국산(-4.3%)과 수입(-8.7%)이 모두 줄며 전년 대비 5.7% 감소를 기록했다.

반도체 산업이 불황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디스플레이등 공급이 감소했고, 건설 경기가 꽁꽁 얼며 건설 관련 장비도 공급량이 줄었다.

업종별 국내공급(표=통계청)
업종별 국내공급(표=통계청)

국산 공급이 줄고 수입이 늘어나면서 2018년 수입점유비는 25.7%로 전년 대비 0.3%p 상승했다.

업종별로 석유정제(2.8%p), 전자제품(1.1%p), 식료품(1.1%p) 등의 수입점유비는 상승한 반면, 기계장비(-1.2%p), 1차금속(-0.8%p)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수입점유비(표=통계청)
수입점유비(표=통계청)

통계청 경제통계국 김보경 산업동향과장은 “제조업 국내공급 감소는 2017년 증가 폭이 컸던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분석했다. 2017년 제조업 국내공급 증가 비율은 3.8%였다. 특히 국산 기계장비 공급은 12.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실거래 기준으로 전수조사"

최근 부동산 규제책과 관련해 국민의힘의 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여야 국회의원이 보유한 부동산 전수조사를 제안했다. 누리꾼들은

광주시, 31일 도시농부축제 개최

광주광역시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사흘간 시청 앞 잔디광장에서 ‘2025 광주 도시농부 축제’를 개최한다. ‘씨앗에서 밥상까지&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