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뉴스' 댓글 여론에서도 조국 부정여론 87%

[언론킹] 8월 셋째주 언론사별 기사량·댓글량·이슈 분석
댓글 이슈는 조국 > 한일갈등(지소미아 등) > 구혜선 > 몸통시신 순
언론사별 댓글수는 연합뉴스 > 뉴스1 > 중앙일보 > 조선일보 > 뉴시스 순
2019-08-26 15:57:57

8월 셋째주 누리꾼들이 가장 많이 본 이슈는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관련 이슈로 네이버에서 조회수 높은 100건의 기사를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579만 여회 조회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많이 본 이슈는 ▲구혜선 이혼 이슈로 428만회(점유율 17.6%), ▲지소미아 파기를 포함 한일갈등 이슈는 376만회(15.5%), ▲몸통시신 사건 287만회(11.8%), ▲이월드 사고 후속기사 147만회(6.1%), ▲일본여성 폭행 이슈 144만회(5.9%) 순으로 집계됐다.

많이 본 기사 100건 중 ▲조국 후보자 관련기사는 24%(2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일갈등 18%로 집계됐다. 한일갈등 이슈는 지소미아 파기와 관련된 이슈가 12%, 일본 불매운동 관련 이슈가 6%를 차지했다. 이어 ▲구혜선 이혼 이슈 13%, ▲몸통시신 사건 12%, ▲이월드 사고 6%, ▲일본여성 폭행 6% 순으로 집계됐다.

차트=많이 본 100대 뉴스 이슈 분석
차트=많이 본 100대 뉴스 이슈 분석

댓글이 많이 달린 이슈 1위 역시 ▲조국 후보자 관련 기사들로 100건의 기사 전체 댓글수에서 절반 수준인 49.9%를 차지했다. 이 이슈를 다룬 기사들에는 14만3727개의 댓글이 달려 기사당 평균 5989개의 댓글을 기록했다. 이어 ▲한일갈등 기사에 5만5229개의 댓글이 달려 점유율 19.2%를 기록했다. 이중 지소미아 파기와 관련한 기사에는 4만2585개의 댓글이 달렸고 전체 댓글에서 14.8%를 차지했다. 기사당 평균 3549개의 댓글이 달렸다.

 

◇ '조국' 댓글여론 20일부터 급증... '딸특혜 논란'이 트리거

한주간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기사는 네이버 인링크 기준으로 392건 발생했고, 댓글은 총 8만546개 발생했다. 기사당 평균 205개의 댓글이 달리며 매우 높은 반응율을 기록했다. 누리꾼들의 감성은 ‘화나요’가 압도적으로 높은 94.8%로 집계됐고, 반면 ‘좋아요’는 3.9% 수준에 머물렀다.

댓글은 20일 급증했는데 이날 조 후보자 관련 기사는 52건 올라왔고, 댓글은 2만3436개 달렸다. 이날 동아일보의 <[단독]고교때 2주 인턴 조국딸, 의학논문 제1저자 등재> 기사가 댓글여론의 트리거로 작용했다. 딸에 대한 특혜 논란에 불이 붙은 것이다.

차트='조국' 관련 기사수-댓글수 추이
차트='조국' 관련 기사수-댓글수 추이

이 기사는 ‘화나요’가 98.1%를 차지했다. 누리꾼들은 조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넘어 현 정권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표출했다. 특히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는 한 누리꾼은 제1저자 등재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해당 논문의 삭제까지 주장했고 누리꾼들로부터 높은 공감을 얻었다.

  • 유학후 돌아와서 외고다니다 1년만에 의학논문을 쓰고 제1저자로 등재! 의전원도 합격? 이게 실화냐? 그런 천재가 유급 몇 번에 장학금은 독차지? 조국을 보면 문정권이 보인다. 기회는 균등? 삶은 소대가리가 웃겄다.  (공감 43)
  • 외고인데 2주 연구만에 의학논문 제1저자이고 이공계로 수시입학. 그리고 의전원입학. 하지만 낙제 2번. 제적당해야 하지만 휴학하고 규정 수정. 정유라는 올림픽메달로 이대까지 갔지만 모두 취소 후 중졸. 하지만 조국 딸은 의사?? 이게 문재인대통령께서 외치시던 공정한 나라인가.   (공감 42)
  • 대학원 박사 마무리 중인 한 사람으로서 이게 얼마나 비현실적인 일인지 알려드립니다. 학술지 1저자는 보통 지도교수가 따가고 2저자도 감지덕지죠. 그리고 리뷰프로세스까지 거치면 보통 출간까지 1년은 걸립니다. 또한 석사이름은 마지막에 하나 넣어줄까 말까입니다. 고등학생이 제1저자? 이 바닥 현실을 너무나 잘 알기에 입에서 쌍욕 나오네요. 이건 해당 저널에 고발해서 출간된 논문 삭제해야 합니다.  (공감 38)
사진=23일 서울대에서 열린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사퇴 촉구집회(촬영:박성원 기자)
사진=23일 서울대에서 열린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사퇴 촉구집회(촬영:박성원 기자)

네이버 인링크 기사 중 댓글이 100개 이상 달린 기사를 77건을 표본으로 조국 후보자에 대한 이슈를 분석한 결과 기사의 비율은 ▲학계-법조계-야권 등에서 나온 비판의 목소리를 전한 내용이 24.7%를 차지했다. 이어 ▲딸 특혜의혹 14.3%, ▲대학생 규탄시위 11.7%, ▲공지영 작가 등의 조 후보자에 대한 지지여론을 다룬 기사는 9.1%, ▲사모펀드 의혹 이슈 7.8%, ▲과거 발언내용(내로남불) 6.5%, ▲부동산 의혹 3.9%, ▲사학재단 의혹 3.9%, ▲재산 사회환원 3.9%, ▲청와대의 방어 3.9%, ▲법무부장관 정책 내용 1.3% 순으로 집계됐다.

누리꾼들의 댓글이 가장 집중된 이슈는 ▲딸 특혜 의혹이었다. 11건의 기사에 2만6728개의 댓글이 달려 표본기사 전체 댓글 중 34.9%가 집중됐다. 이어 댓글이 많이 달린 이슈는 ▲각계각층의 조국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전한 기사에 1만9829개의 댓글이 달려 점유율 25.9%를 보였고, ▲사모펀드 의혹 7.9%, ▲조 후보자 지지 여론 7.5%, ▲대학생 규탄시위 6.3%, ▲과거 발언(내로남불) 4.9%, ▲부동산 의혹 4.6%, ▲사학재단 의혹 1.9% 순으로 집계됐다.

관련 이슈 모두 부정감성 반응이 90%가 넘었고, 부정감성 반응이 가장 높은 이슈는 사포펀드 관련 이슈로 98.1%가 '화나요'를 눌렀다. 딸 특혜 이슈는 '화나요'가 97.1%로 집계됐다.

여권 지지성향이 강한 다음 댓글여론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한주간 조 후보자에 대한 기사는 403건 올라왔고 댓글은 5만7977개 달렸다. 기사당 평균 댓글은 144개 꼴로 산출돼 역시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다. 조 후보자에 관한 기사 중 댓글이 100개 이상 달린 기사들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인 내용이 86.7%를 차지했고, 긍정적인 내용은 13.3%에 불과했다.

다음에서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기사는 뉴스1의 20일자 <조국이 대법관으로 추천했던 신평 "조국씨, 이제 내려오십시오"> 기사로 1만1797개의 댓글이 달렸다. 누리꾼들은 댓글을 통해 조 후보자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쏟아냈다. 한 누리꾼은 딸특혜를 언급하며 '국민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의견을 올려 많은 1만개가 넘는 공감을 얻기도 했다.

  • 겉으로는 깨끗한 척, 정의로운 척, 서민 생각하는 척 하고있지만 사실은 얼마나 더럽고, 가식적이고 이중적이고 내로남불에 위선적인지 아주 적나라하게 사람들에게 까발려 보여주고 있거든. 난 조 후보님이 자진사퇴 하지말고 끝까지 버텨줬으면 좋겠고, 가급적이면 문대통령님도 임명 강행 해주시길 바래. 조국 후보님 힘내세요. 사퇴없이 끝까지 갑시다. (공감 25037)
  • 교육비리...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거다... 공정, 정의를 바라는 국민의 마음속 너무 아픈 데를 건드렸다... 그만 물러나라!  (공감 10374)
  • 촛불들고 정권교체 소리질렀던 내가 참으로 한심하구나.. 예날부터 주사파넘들 겉다르고 속다른건 알았지만 정말 속은거 생각하니 분하다..  (공감 2819)


◇ 댓글은 연합뉴스, 트위터는 조선일보

한 주간 네이버 뉴스 조회수 상위 100건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언론사별 조회수는 ▲중앙일보가 가장 많은 440만1012회 조회되며 100건 기사 조회수에서 18.1%를 점유했다. 이어 ▲아시아경제 210만5835회(8.7%), ▲조선일보 210만1937회(8.7%), ▲국민일보 206만8414회(8.5%), ▲연합뉴스 176만8483회(7.3), ▲KBS 162만3043회(6.7%), ▲동아일보 118만3849회(4.9%) 등이 100만뷰를 넘겼다. 

차트=언론사별 조회수 비교 (조회수 상위 100건 기사 기준으로 집계)
차트=언론사별 조회수 비교 (조회수 상위 100건 기사 기준으로 집계)

언론사별 댓글은 네이버·다음 양대 포털 합산 기준으로 ▲연합뉴스가 가장 많은 82만5154개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뉴스1 45만3251개, ▲중앙일보 37만2767개, ▲조선일보 29만7441개, ▲뉴시스 28만9375개 순으로 집계됐다.

차트=언론사별 댓글수(네이버·다음 합산)
차트=언론사별 댓글수(네이버·다음 합산)

트위터에서 기사가 인용된 횟수를 통해 SNS에서 언론사별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데, 8월 3주차에는 ▲중앙일보 기사가 4289회 인용되며 1위를 차지했고, ▲조선일보 3672회, ▲머니투데이 2280회, ▲뉴시스 1887회, ▲매일경제 1637회, ▲한국경제 1621회 순으로 인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차트=언론사별 트위터 인용횟수
차트=언론사별 트위터 인용횟수

 


*자료협조 : 채시보(采詩報)

  •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검찰의 자업자득"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최근 '검찰 개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검찰 보완수사 폐지와 관련해 "보완수사는 검찰의 의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

쿠팡, ‘하반기 주방 페어’ 개최

쿠팡이 가을 시즌을 맞아 주방을 새롭게 단장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하반기 주방 페어 SALE’을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하반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