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분담금 납부 지연, 기술 유출 의혹 등으로 논란을 야기했던 전투기 KF-21 공동개발국 인도네시아가 최근 북한과 기술 협력 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인도네시아와 계약을 중단해야한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이 지난 17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개발 분담금 납부 지연, 기술 유출 의혹 등으로 논란을 야기했던 전투기 KF-21 공동개발국 인도네시아가 최근 북한과 기술 협력 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인도네시아와 계약을 중단해야한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28일 SBS 등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10일과 11일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평양을 방문한 수기오노 인도네시아 외교 장관은 북한과 기술, 정치 등 분야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여기에는 군사 기술 협력도 포함될 가능성이 주목된다. 실제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 장관의 특별고문인 수크모 하르소노씨는 최근 자국 라디오 방송와의 인터뷰에서 미사일 시스템 등 국방 분야로 양국의 협력이 확장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네시아는 KF-21을 공동 개발하고 국산 훈련기 T-50을 운용하는 국가로 우리 방위 기술이 북한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KF-21에 미국의 부품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향후 수출에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과 방사청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보도자료 배포와 언론 보도 이후에야 이같은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방사청은 이와관련해 "KF-21 공동개발사업 관련 기술은 '정보비공개 약정'(NDA)에 따라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며 "우리 방위산업 기술이 제3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래픽=BBD랩 빅터뉴스가 10월 15일부터 28일 오전 10시까지 '인도네시아'와 'KF 21', '북한' 키워드로 관련기사를 집계한 결과 포털 네이버와 다음을 기준으로 관련 기사는 모두 42개, 댓글 781개, 반응 1724개로 집계됐다. 온라인 감성별로 다음의 '화나요(1052개, 81.35%)'가 가장 많았다.
네이버에서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SBS 10월 20일자 <[AFTER 8NEWS] KF21 돈 떼먹고 중국산 전투기 '사재기'…북한엔 "방산협력" 한국은 호구였나>로 댓글 312개, 반응 231개가 달렸다(순공감순).
글로벌 호구납셨네(공감 217) 그 업무는 대사관이 아니라 국정원이 해야되는데,,,,지금 국정원이 있나요? 아님 폐기 되었나요?(공감 83) 잘하는 꼬라지다. 인니한테도 절절절... 하여튼 정치꾼들이 문제다(공감 77) 당장 인도네시아하고 관계 끊어라, 국방기술 넘어갈라, 어디서 양다리 짓거리야(공감 64) 미국은 우리도 못믿어 함부로 기술이전 안하는데 인도네시아를 얼마나 안다고 죄다 보여주나 멍청한것도 이정도면 국대급이다(공감 63) 더이상 인니하고는 방산 거래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 됩니다(공감 33) 예전부터 인니와 관계 끊으라고 하면 방사청장이 규모의 경제 운운 하면서 쌍수들고 막았다. 이 정도면 뭔가 있는 것 아냐?(공감 29)
다음으로 머니투데이 10월 16일자 <'KF-21 먹튀 논란' 인니, 북한과 기술협력 약속…"방산기술 유출 유려">에는 댓글 81개, 반응 37개가 달렸다(순공감순).
정부 암말도 못하죠?(공감 105) 당장 끊어라...우리가 돈이 없는것도 아니고 저런것들이랑 무슨 사업이고(공감 36) KF-21 프로그램에서 퇴출시켜라(공감 7) 캄보디아 인니까지 무시만 당하네(공감 5) 당장 계약 해약하라. 우리나라는 항상 호구구나(공감 2) 지금이라도 빨리 협력을 끊고 준 적대 국가로 규정해야 하는게 바람직할 듯 이건 뭐 대한민국을 적대행위하는 거지(공감 1)
포털 다음의 댓글 정책 변경(타임톡 시행)에 따라 다음에 올라온 기사 댓글은 수집하지 않았다. 다음에서 반응수가 가장 많은 기사는 SBS 10월 15일자 <[단독] 'KF-21 공동 개발' 인도네시아, 북과 기술 협력?>으로 916개로 집계됐다(화나요 899개).
※ 마이닝 솔루션 : BBD랩 ※ 조사 기간 : 2025년 10월 15~28일 오전 10시까지 ※ 수집 데이터 : 2547개(네이버, 다음, 네이트 기사와 댓글, 반응) ※ 분석 : 빅터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