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가로등·보안등 9600곳에 QR코드 부착
2025-07-29

재생에너지 발전의 최적 입지로 에너지 대전환을 꾸준히 준비해온 전남 영암군이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할 방침이다.
영암군은 29일 군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을 발표했다.
‘바로 시작하는 미래, RE100 영암’을 구호로,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 일대에 ▲신재생에너지 허브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 ▲에너지자립 그린시티를 조성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재생에너지 100%로 제품을 생산하는 ‘RE100’의 세계적 확산과 국내 산업계의 RE100 수요 증가 등에 따라 이달 10일 대통령실은 ‘RE100특별법’ 제정 방침을 발표했다.
RE100산단 기업 유치와 에너지신도시를 촉진하기 위해 입주기업 규제 제로 및 전기요금 할인 차등제 도입, 교육·정주 여건 파격 개선 등을 이 법에 담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영암군은 새 정부의 이런 정책 기조에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정책으로 발 빠르게 화답했다.
군은 이같은 정책으로 국토 서남권 경제의 주축인 대불산단을 호남권 재생에너지 초광역 경제권의 한축으로 도약시키는 한편, 국가균형발전의 모범 사례로 만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대불국가산업단지와 인근 삼호·삼포지구 기업도시에 신재생에너지 수소·태양광 허브를 구축해 대불산단 등의 RE100산단화를 달성하고,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단지로 조선업의 산업전환을 유도하는 동시에, 에너지자립 그린시티로 RE100산단 인력의 정주 여건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지역공약인 ‘대한외국인 행복도시’와 연계해 RE100산단의 주거·교육·상업·문화 배후도시를 조성하고, 글로벌 재생에너지 인재 육성, 지방이민청 신설 등을 추진한다.
그동안 영암 지역은 일평균 3.6시간의 일조시간, 대불산단 등 전력 최대 수요처를 보유해 RE100 실현 최대 입지로 여겨져 왔다.
이런 장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영암군은 지난해 1월 분산에너지 추진 전략 포럼 개최, 7월 기업 RE100 지원 업무협약 체계, 12월 RE100비전 선포로 이어지는 정책을 내실 있게 진행해 왔다.
무엇보다 ‘대불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사업’ ‘분산에너지 활용 VPP(통합발전소) 플랫폼 구축사업’ 등 재생에너지와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기술을 축적하고, 관련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울러 이달 18일 영암군은 ‘RE100 TF(테스크포스)’를 신설해 ‘호남권 전력망(HVDC) 확충’ 등 주요 과제를 선별했고, 조만간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조성 추진단’도 구성할 예정이다.
우승희 군수는 “재생에너지 최적 입지에 에너지 대전환을 착실히 준비해온 영암군이 RE100산단과 에너지신도시의 최적지이다”며 “정부는 대불산단을 RE100산단으로 지정하고, 추가 RE100산단 지정과 대기업 영암 유치를 적극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