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직원 절반 "생성형 AI 업무 적용中"

광주시,조사결과 '업무적용률 47.7%'…행정효율성 향상
최창봉 기자 2025-05-20 14:02:18
광주시는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7%가 ‘AI 대변인’, ‘AI 당지기’ 등 이미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광주시 제공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광주시가 행정 전반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적극 도입하며 인공지능 전환 행정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주시는 최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7%가 이미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7일부터 4월 4일까지 총 2,479명의 광주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는 공공분야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생성형 AI의 활용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지원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생성형 AI 활용자 중 63.5%는 별도의 비용 없이 이용 가능한 무료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어 28.5%는 광주시가 지원하는 계정을, 8%는 개인적으로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서비스는 ‘챗 지피티(GPT)’로, 전체의 94%가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 활용 목적은 ▲보고서 작성(70.8%) ▲데이터 분석(9.6%) ▲디자인(1.1%) 순이었다. 생성형 AI가 문서 작성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성형 AI를 아직 사용하지 않는 직원들의 주요 이유는 ‘사용 경험 부족’(64.7%)과 ‘필요성 미인식’(31.9%)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내 생성형 AI 활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후속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전 직원의 생성형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상·하반기에 실습 중심의 업무 활용 교육과 전문가 특강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부서와 개인을 대상으로 60개 계정에 대해 디지털 신기술 구독료를 하반기에도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이는 직원들이 실질적인 AI 활용 경험을 쌓고,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AI 도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다.

특히 광주시는 올해 3월부터 자체 개발한 AI 직원인 ‘AI 대변인’ 서비스를 행정 실무에 적극 활용해 주목받고 있다. ‘AI 대변인’은 챗 지피티(GPT) 기반 기술에 광주시의 보도자료 서식, 작성 기준, 표현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내부 정보를 학습시켜 핵심 정보 입력만으로 보도자료 초안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혁신적인 생성형 AI 챗봇이다. 

또 지난해 8월 특·광역시 최초로 특별채용한 ‘AI 당지기’ 역시 당직 민원의 84%를 처리하는 등 당직지기 역할을 톡톡히 하며 민원 편의성 및 행정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AI 당지기’는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7개월간 총 9,853건의 민원전화를 받았고, 이중 84%인 8,272건을 처리했다. 이 중 대중교통 불만 신고 등 민원접수 768건, 단순응대 5,941건 등 민원응대가 6,709건으로 집계됐다.

박혜미 데이터정보화담당관은 “업무 효율성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며 “광주시는 앞으로 맞춤형 교육과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전 직원이 디지털 전환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행정 혁신을 위한 AI 기술을 행정 전반에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광양으로 여행오세요"

광양시가 20일 기술 발전과 지식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요구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을 위한 맞춤 여행지로 ‘Park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