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대신 넷플릭스로”... 모바일 앱 이용 트렌드로 본 코로나19

배달앱·온라인쇼핑 이용률 ↑, 대중교통·영화관 ↓
코로나19 구직활동에도 영향... 알바몬 이용률 12.5% ↓
2020-02-26 17:57:46
차트=산업별 앱 이용량 변화 (출처 : 앱마인드 이슈 리포트)
차트=산업별 앱 이용량 변화 (출처 : 앱마인드 이슈 리포트)

코로나19의 확산이 언택트(untact) 소비 증가의 기폭제가 된 것으로 조사됐다.

앱기반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앱마인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전후로 언택트 소비의 대표적인 앱인 배달의민족이나 요기요 등 배달앱과 쿠팡·위메프·티몬 등 온라인 쇼핑 앱의 이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소비는 소비자와 직원이 만날 필요가 없는 비대면 소비 트렌드로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에 부정 접두어인 언(un)을 붙인 신조어다.

배민과 요기요 등 배달앱의 경우 1월 셋째주 이용자가 273만명에서 2월 첫째주에는 314만명으로 늘며 1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기요는 1월 이용자 104만명에서 2월에는 126만명으로 늘며 21.2%의 가장 가파른 증가율을 보였다.

온라인쇼핑 앱은 2월 첫째주 이용자가 120만명을 기록하며 1월 셋째주 대비 7만명이 증가해 5.3% 증가율을 보였다. 이중 NS홈쇼핑 앱은 가장 가파른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57만명에서 81만명으로 증가하며 42.1% 상승했다. 티몬은 1월 이용자 288만명에서 2월 327만명으로 증가하며 13.5% 증가했다.

이외에도 유치원·어린이집 알림장인 ‘키즈노트’는 22.6% 증가했는데, 키즈노트의 경우 학부모들이 코로나19와 관련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공지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수신하면서 이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 OTT 서비스인 넷플릭스 앱도 92만명에서 104만명으로 13.0% 증가했다.

차트=주요 앱 이용량 변화 (출처 : 앱마인드 이슈 리포트)
차트=주요 앱 이용량 변화 (출처 : 앱마인드 이슈 리포트)

반면 다중 이용시설과 관련된 앱들은 모두 이용률이 하락했다. 특히 CGV·메가박스·롯데시네마 등 영화관 예약을 위한 앱은 1월 셋째주 이용자 139만명에서 2월 첫째주에는 117만명으로 감소하며 15.8% 하락해 넷플릭스 앱의 증가세와 대조를 이뤘다.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이 위축되며 대중교통을 위한 앱들도 모두 이용률이 감소했다. 코레일톡·카카오버스·카카오지하철 등 대중교통 앱의 이용자가 1월 셋째주 281만명으로 집계됐는데, 2월 첫째주에는 252만명으로 감소하며 10.3% 하락했다.

특히 코레일톡의 경우 이용자가 같은 기간 76만명에서 52만명으로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폭인 31.6%를 기록했다. 이밖에 네비게이션 앱인 티맵은 이용자가 85만명에서 73만명으로 줄며 11.8% 하락했고, 알바몬은 80만명에서 70만명으로 12.5% 하락해 코로나19가 구직활동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검찰의 자업자득"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최근 '검찰 개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검찰 보완수사 폐지와 관련해 "보완수사는 검찰의 의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

쿠팡, ‘하반기 주방 페어’ 개최

쿠팡이 가을 시즌을 맞아 주방을 새롭게 단장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하반기 주방 페어 SALE’을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하반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