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36.5% 1위... 이낙연 2위는 했지만 연속악재로 관심도 하락 ①

[대선주자 리포트] 11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차기 대선주자
SNS+댓글여론 종합 관심도 : 황교안 > 이낙연 > 이재명 순
댓글여론에서는 황교안 1위... SNS에서는 이낙연 1위
2019-12-05 17:06:52
사진=(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김경수 경남지사, 이재명 경기자사, 안철수 전 의원, 황교안 한국당 대표, 이낙연 총리, 홍준표 전 대표, 유승민 의원, 심상정 정의당 대표
사진=(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김경수 경남지사, 이재명 경기지사, 안철수 전 의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이낙연 총리, 홍준표 전 대표, 유승민 의원, 심상정 정의당 대표

11월 한 달간(11.1~11.30) SNS와 뉴스 댓글 여론에서 차기 대선주자에 대한 누리꾼들의 관심도를 합산한 결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전체 주자 중 가장 높은 관심도 비중인 36.5% 기록했다. ▲이낙연 총리는 전월대비 10%p 이상 하락 하며 15.0%로 집계돼 2위에 올랐다.

‘관심도’는 유권자 접촉없이 SNS의 관련 게시물, 어휘 분석, 기사량-댓글량, 기사에 대한 감성반응 등 숫자 데이터만을 활용해 산출한 지수로, 차기 대권 주자에 대한 누리꾼들의 관심 정도를 백분율로 산출한 일종의 인물 ‘퀀트’ 분석이다.

황 대표는 지난 9월 ‘삭발’ 이슈로 여론을 환기시킨 후, 11월 들어 ‘단식’ 이슈로 다시 한 번 보수층 누리꾼들의 긍정적인 관심을 집중시켰다. 반면 이 총리는 ‘동생’ 관련 잡음과 연이은 해상사고 등 돌발악재로 인해 누리꾼들의 부정감성 비중이 올라가며 종합 관심도가 전월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3위는 이재명 경기지사로 12.9%의 관심도 점유율을 보였고, ▲4위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로 7.9%를 기록했다. 이 지사는 지사직 상실 위기로 세간의 관심이 고조된 가운데 일부 도정(道政) 관련 보도에 누리꾼들의 긍정적인 공감이 대량으로 쏟아지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심 대표 역시 국회의원 연봉을 대폭 삭감해야한다는 의견을 내며 누리꾼들의 높은 공감을 이끌었다.

이어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는 관심도 점유율 7.0%,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 5.9%, ▲김경수 경남지사 5.8%, ▲안철수 전 의원 4.6%, ▲박원순 서울시장 4.3% 순으로 집계됐다.

 

◇ 황교안 지수상승... ‘단식’ 이슈가 대량으로 공감 끌어

황교안 대표의 관심도 상승에는 ‘단식’ 이슈가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이로 인해 특히 네이버 댓글여론에서는 타 주자를 압도하는 관심도를 끌어낼 수 있었다.

댓글의 볼륨과 긍부정 감성을 합산한 댓글여론 관심도에서 황 대표는 전체 주자 중 87.9%를 점유하며 차별적인 관심도를 보였다. 관심도에서 2위에 오른 유승민 의원과는 20배가 넘는 격차를 벌렸다. 유승민 의원의 관심도는 4.4%를 기록했다.

차트=주자별 네이버 기사수-댓글수 비교
차트=주자별 네이버 기사수-댓글수 비교

단식 기간(2019.11.20~11.28) 중 황 대표에 대한 관심도 상승은 기사량과 댓글량에서 볼 수 있는데, 네이버에는 인링크 기준으로 3536건의 기사와 41만8654개의 댓글이 이 기간에 집중 발생했다. 이 기간 발생한 댓글은 한 달간 발생한 전체 댓글 59만8천여개 중 70.0%를 차지하는 비중이었다. 네이버 기준 댓글수에서 2위를 차지한 유승민 의원 관련 기사에는 11월 한 달간 총 4만3685개의 댓글이 발생했는데 격차가 12배에 달했다.

차트=11월 황교안 대표 기사수-댓글수 추이
차트=11월 황교안 대표 기사수-댓글수 추이

댓글량 뿐만 아니라 타 주자대비 높은 긍정감성 지수도 황 대표의 관심도를 끌어올리는 주요 요소였다.

감성반응은 네이버 기사의 ‘좋아요’, ‘화나요’, ‘슬퍼요’ 등의 표정을 추출해 분석한 결과 값으로 황 대표에 대한 긍정지수는 주자 중 가장 높은 66.8%를 기록했다. 안철수 전 의원은 64.2%, 유승민 의원 45.5%, 홍준표 전 대표는 43.6%로 주로 보수진영의 주자들이 모두 40%이상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긍정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단식 기간 중 황 대표에 대한 감성반응은 다소 특징적인 흐름을 보였는데, 단식일이 경과할수록 표정 중 ‘슬퍼요’가 점차 증가했다는 점이다. 단식 2일차인 21일에는 ‘슬퍼요’가 평균 5.1%에 불과했는데, 24일에는 36.2%, 25일에는 54.5%, 단식이 절정에 달한 27일에는 평균 78.1%까지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황 대표의 단식이 경과함에 따라 누리꾼들의 공감도 점차 확장되며 동정 여론도 조성된 것을 보여준다.


◇ 이낙연, 정부에 대한 비판여론 피하지 못해 부정지수 상승

줄곧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 SNS에서는 이낙연 총리가 압도적인 관심도를 기록했었는데, 11월 들어 연이은 악재로 부정 지수가 상승하며 종합지수를 끌어내렸다. SNS의 감성지수는 관련 게시물에서 감성어를 추출해 긍부정 단어의 비율을 집계한 지수다.

SNS에서 이 총리에 대한 관심도는 10월 48.2%에서 11월에는 28.4%로 큰폭으로 감소했다.

10월 31일에 독도에서 소방헬기가 추락하며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고, 제주도 해상에서 19일 선박화제, 25일 어선 침몰 등으로 다수의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했다. 또. 19일에는 이 총리의 동생 이계연씨의 불법취업 논란이 불거졌다. 이런 거급된 악재가 SNS에서 회자되며 ‘불법’, ‘논란’, ‘우려’, ‘걱정’ 등의 부정감성어가 높은 언급빈도를 보이며 부정감성 지수를 상승시켰다.

이 밖에 부정감성어 중 ‘폭등하다’도 언급빈도 10위에 랭크됐는데, 최근의 아파트값 폭등 이슈로 언급량이 급증해 부정감성을 높인 원인이 됐다. 아파트값 폭등의 경우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해 누리꾼들의 비판이 쏟아졌는데 이 총리도 피해갈 수 없었다.

차트=주자별 SNS 언급량 및 관심도 비교
차트=주자별 SNS 언급량 및 관심도 비교

동생의 불법취업 논란을 제외하면 11월에 불거진 악재성 이슈들 모두 정부의 사고대응이나 정책에 관한 이슈들로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는 이 총리에게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예로 지난 4월 강원도 산불과 10월 돼지열병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는 오히려 이 총리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인해 누리꾼들의 긍정적인 관심도가 상승한 바 있는데, 11월 들어 연이어 발생한 재난 이슈에서는 여론의 플로우가 이전과는 다소 다른 흐름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한편 이 총리 인물에 대한 이슈에서는 여전히 높은 긍정적 반응이 이어졌다. 예로 지난 7일 강기정 청와대 수석의 국회 고성논란에 대해 이 총리가 국회에서 사과를 했는데, 관련 기사에 댓글이 대량으로 달리며 높은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인물론'만으로는 악재를 극복하기 어려웠다.

네이버에서는 7일자 국민일보의 <이낙연의 ‘사이다 사과’…한국당도 감동시켰다> 기사에 1281개의 댓글이 달렸는데 대체로 보수성향을 띄는 네이버 댓글여론에서도 긍정지수가 37.1%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에서는 노컷뉴스의 <이낙연 강기정 논란 '쿨한 사과'에 野의원 "멋지고 아름다워"> 기사에 1952개의 댓글이 달렸고 공감지수가 128%로 산출되며 매우 높은 공감을 얻었다. 이들 기사 모두에서 이 총리 인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다수 발생했다.

[네이버 국민일보 댓글]

  • 이낙연이 말 한마디로 이겼네.. 한국당 당황했구만.. 사과하라고 했다가 사과하니까 할말이 없어... (중략)  (공감 31)
  • 역시 멋진! 총리십니다 양아치 수준의 정치판에서 늘~의연한 자세와 품격있는 언어로 존경합니다... (중략)  (공감 16)

[다음 노컷뉴스 댓글]

  • 이총리인들 사과하고 싶겠습니까 치욕적이고 짜증났을 겁니다 하지만 총리나 대통령은 이러한 안정적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너무나 대인배처럼 잘하고 계십니다. (후략) (공감 9,228)
  • (중략) 스스로 절제하는 능력 상대방 기분나쁘지 않게 말하는 품격있는 언어와 행동 그리고 정치에 고단수 의식구조등 무엇이 부족한가.  (공감 101)

 


(다음 기사에 계속)

[대선주자 리포트] 이재명-심상정 나란히 전월대비 순위 상승 ②

※ 마이닝 솔루션 : 펄스케이, 워드미터, 채시보(采詩報)
※ 조사 기간 : 2019.11.1 ~ 11.30
※ 수집 버즈 : 2,550,652건(SNS, 기사, 댓글)
※ 분석 : 빅버즈코리아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검찰의 자업자득"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최근 '검찰 개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검찰 보완수사 폐지와 관련해 "보완수사는 검찰의 의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

쿠팡, ‘하반기 주방 페어’ 개최

쿠팡이 가을 시즌을 맞아 주방을 새롭게 단장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하반기 주방 페어 SALE’을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하반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