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은 ‘삭발’로 빅이슈 메이킹... 이낙연은 한달간 이슈 희미 ②

[데이터K] 9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차기 대선주자
네이버 댓글여론 : 황교안 > 이재명 > 홍준표 > 이낙연 순
다음 댓글여론 : 이낙연 > 이재명 > 홍준표 > 김경수 순
2019-10-08 00:43:52

네이버와 다음 양대 포털에 인링크된 기사 1만7222건과 141만2655개의 댓글을 분석해 산출한 관심도에서는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가장 높은 37.1%를 차지했고, 이어 ▲홍준표 전 대표 20.2%를 기록하며 선두 그룹을 형성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1.3%, ▲이재명 경기지사 11.0%, ▲이낙연 총리가 10.8%로 집계되며 중위권 그룹을 형성했고,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 4.2%, ▲김경수 경남지사 2.5%, ▲안철수 전 의원 1.5%, ▲박원순 서울시장이 1.5%로 집계되며 후위 그룹을 형성했다.

차트=네이버·다음 뉴스댓글 관심도
차트=네이버·다음 뉴스댓글 관심도

포털별로는 네이버 댓글여론에서 보수성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고, 다음에서는 범여권 주자들이 강세를 보였다. 네이버에서는 황교안·홍준표 전·현 한국당 대표들이 타 주자 대비 압도적인 관심도를 기록했는데, 유승민 의원까지 포함하면 보수진영 주자들의 관심도가 90.6%에 달했다.

반면 다음(daum)에서는 범여권의 주자들이 강세를 보였는데, 더불어민주당 주자들과 정의당 심상정 대표에 대한 관심도 합산 결과는 6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이버 댓글여론에서 보혁 주자간 격차가 워낙 크게 벌어진 탓에 양대 포털 종합 지수에서 간격을 좁히지 못했다. 


◇ 황교안 ‘삭발’로 빅이슈 메이킹

대선주자 중 9월에 가장 빅이슈를 만든 주자는 단연 한국당 황교안 대표였다. 네이버 인링크 기준 황 대표에 대한 기사는 3507건으로 전체 주자에 대한 기사 중 40.0%가 황 대표에 대한 기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은 36만5438개 발생했는데 이 역시 전체 주자 댓글 중 44.0%를 차지하는 비중이었다. 

황 대표에 대한 기사와 댓글은 조국 법무부장관 임명에 반발하며 삭발을 거행하던 16일 급증했다. 이날 하루 동안 황 대표에 대한 기사는 667건 발생했고, 댓글은 10만2450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황 대표 삭발 소식에 대한 누리꾼들의 감성반응은 네이버와 다음 간에 큰 온도차를 보였다. 16일 네이버 인링크 기사들에 대한 감성반응은 ‘좋아요’가 평균 82.8%로 매우 높게 집계됐고, ‘화나요’는 13.4%로 집계됐다. 다음(daum)의 경우 전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네이버의 긍정감성반응과 유사한 ‘공감’을 집계한 결과 평균 11.7% 수준을 보이며 긍부정 감성반응이 크게 엇갈렸다.

차트=‘황교안’ 관련 기사량·댓글량 추이
차트=‘황교안’ 관련 기사량·댓글량 추이

 

◇ 이낙연 ‘조국정국’에 가려 이슈 실종

반면 여권 주자 중 가장 관심도가 높은 이낙연 총리는 SNS에서와는 달리 댓글여론에서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양대 포털 댓글여론의 정치적 성향을 차치하더라도 이슈 메이킹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이다.

기사수는 양대 포털 모두에서 1600~1700건이 발생하며 황교안 대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양이다. 그러나 이 총리 관련 댓글은 기사수에 비해 낮은 발생량을 보이고 있다. 네이버에서는 기사당 평균 댓글이 43.3개에 불과해 9명 주자 중 9위를 기록했고, 다음에서도 기사당 평균 댓글이 20.8개로 9명 중 8위를 기록했다.

현직 총리이자 여권의 유력한 대선주자라는 존재감으로 인해 언론에서는 이 총리에 대해 매우 높은 주목을 하고 있지만, 정작 그 기사를 읽는 누리꾼들은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로 홍준표 전 대표의 경우 네이버 기준으로 평균 댓글이 294.7개로 주자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간 홍 전 대표에 대한 기사는 총 548건으로 이 총리의 3분의 1수준이지만 댓글은 16만1496개 발생하며 황 대표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홍 전 대표는 다음 댓글 여론에서도 기사수 대비 댓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댓글은 132.3개로 네이버의 절반에 못미쳤으나 9명 주자 중 평균 댓글이 가장 많았다. 홍 대표의 경우 언론의 주목도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관련 소식이 전해질 때 마다 다수의 누리꾼들이 댓글을 달거나 감성표시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9월 한 달은 조국 정국이 정치권을 강타하며 대선주자들에게도 영향을 끼쳤으나, 보수진영의 주자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새로운 파생이슈를 확대 재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예로 황교안 대표는 ‘삭발’, 홍준표 전 대표는 나경원 원내대표의 원정출산 의혹 제기, 유승민 의원과 안철수 전 의원은 ‘제3신당’ 이슈 등으로 누리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이낙연 총리·심상정 대표·박원순 시장은 이슈 대부분이 아직 조국정국 프레임에 머물러있었고, 조국정국이 길어지면서 대선주자의 존재감이 점차 옅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총리의 경우 9월 네이버 검색지수(최대지수 100)에서 4위까지 밀렸다. 지수는 ▲이재명 지사가 항소심에서 당선무효형을 받으며 가장 높은 100을 기록했다. 이어 ▲황교안 대표 83.0, ▲안철수 전 의원 47.5, ▲이낙연 총리는 40.5를 기록했다. 부정적인 이슈로 관심도가 급증한 이지사를 제외하면 이 총리의 검색량은 가장 유력한 라이벌인 황 대표의 절반 수준이다. 그나마도 누리꾼들은 이낙연 총리와 함께 ‘황교안’, ‘문재인’, ‘조국’ 등을 가장 자주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총리 고유의 이슈는 없었다.

차트=9월 대선주자 네이버 검색지수 비교
차트=9월 대선주자 네이버 검색지수 비교

 


※ 마이닝 솔루션 : 펄스케이, 워드미터, 채시보
※ 수집 버즈 : 2,754,872건
※ 분석 : 빅버즈코리아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검찰의 자업자득"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최근 '검찰 개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검찰 보완수사 폐지와 관련해 "보완수사는 검찰의 의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

쿠팡, ‘하반기 주방 페어’ 개최

쿠팡이 가을 시즌을 맞아 주방을 새롭게 단장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하반기 주방 페어 SALE’을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하반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