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N] 가공식품 “週1회 구입”... 열에 아홉 집, “건강식품 챙겨먹는다”

농림축산식품부, 2021가구 대상 ‘2018년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조사
가구원 수 많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 높을수록 구매주기 짧아
최근 1년 간편식 구매경험, 만두·피자류(93.9%)>면류(93.6%)>김밥류(87.2%) 순
2019-01-24 11:50:43

바쁜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공식품. 얼마나 자주 사고 돈은 얼마나 쓸까?

조사 결과 주 1회 구입하는 가구가 가장 많고, 월 평균 지출액은 7만 9천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는 가구도 전체의 9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경제연구원이 식품 주 구입자 대상 2021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2018년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따른 결과다.

가공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할인점(36.3%)이 가장 많았고,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28.1%), 대기업이 운영하는 중소형 슈퍼마켓(17.2%) 순이었다.

주 구입처에서 가공식품을 사는 이유로는 ‘거리가 가깝거나 교통이 편해서’가 29.3%로 가장 높았고, ‘품질이 좋아서’ 19.4%, ‘식료품 외 다른 상품도 같이 구입할 수 있어서’ 18.7% 순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주기는 주 1회(43.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구매 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 주기(표=농림축산식품부)
가공식품 구입 주기(표=농림축산식품부)

최근 1년간 한번이라도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한 가구는 41.6%였다.

온라인 구매 이유는 ‘시간 절약’(47.2%), ‘가격 비교’(24.4%), ‘구매시간 제약 없음’(24.2%) 순이었고 PC(17.7%)보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82.2%) 주문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지출액이 많은 품목은 ▲면류(14.7%), ▲건조수산가공품(9.7%), ▲육류가공품(9.3%), ▲간편식(8.4%), ▲음료류(7.9%), ▲커피류(7.8%), ▲건강기능식품(7.1%) 순이었다.

‘온라인으로 전혀 구입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58.4%로 나타나 절반 이상은 가공식품의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으로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품질을 신뢰할 수 없어서’가 29.2%로 가장 많았다.

‘인터넷 사용이 어려워서’가 19.4%, ‘상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 획득이 어려워서’는 18.5%였다.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구매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 간편식 17개 품목군(밥·면·찌개 등 즉석조리식품, 도시락·김밥·샌드위치 등 즉석섭취식품, 채소·과일 등 신선편의식품)에 대한 구매 경험은 61% 이상이었고, 만두·피자류(93.9%), 면류(93.6%), 김밥류(87.2%) 순으로 높았다.

간편식에 구매에 쓰는 월평균 지출액은 7만 8875원이었다.

가구원 1인당 지출액은 ▲1인 가구가 7만 1517원으로 가장 높았고, ▲5인 이상 가구(5만 8596원), ▲4인 가구(4만 9267원), ▲3인 가구(4만 7947원), ▲2인 가구(4만 4159원) 순이었다.

1인 가구의 경우 ‘밥류’, ‘김밥류’, ‘샌드위치·햄버거류’ 등 즉석섭취식품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독거 생활 특성상 간편하게 데워먹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간편식 만족도(5점 만점) 설문 결과, 소비자들은 품질(3.67)이나 영양(3.51)보다는 편리성(3.97)과 맛(3.75)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구원 수, 가구원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에 관계없이 89.3%의 가구는 건강기능식품이나 건강식품을 복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복용 중인 건강식품은 비타민 및 무기질이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 10대 이하는 발효미생물류(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복용 비율이 26.0%로 높은 반면, 60대 이상 고령층은 인삼류(인삼, 홍삼) 비중이 19.6%로 높았다.

성·연령별 복용 중인 건강식품(표=농림축산식품부)
성·연령별 복용 중인 건강식품(표=농림축산식품부)

건강식품에 대한 정보획득 채널은 ‘지인 추천’이 31.9%로 가장 많은 가운데, 20~40대는 ‘온라인’이, 50~70대는 ‘TV 광고’가 2순위로 조사됐다.

건강식품 소비자들은 최근 1년간 3.36개 구매(선물용 1.04개, 섭취용 2.32개)했고, 향후 1년간 구입은 ‘늘 것’이라는 예상(19.9%)이 ‘줄 것’이라는 예상(1.5%)보다 많았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장성군, 목재문화체험장 건립

전남 장성군 목재기술위원회가 최근 군청 상황실에서 회의를 갖고 ‘장성 목재문화체험장’ 조성에 관해 논의했다.‘목재문화체험장’은

고흥군 덕흥보건진료소 준공

고흥군은 29일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덕흥보건진료소’를 신설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 덕흥보건진료소는 동일면 덕흥음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