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N] 줄어드는 신혼부부... 애 안 낳고 빚은 늘고

2017년 11월 기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 138만쌍..전년 대비 4% 감소
초혼인 5년 이하 신혼부부 10쌍 중 4쌍 자녀 없어
금융권 가계 빚 있는 신혼부부 83.3%..전년 대비 1.3%p 증가
대출 잔액 중앙값 8784만원..전년 7778만원보다 12.9% 증가
2018-12-12 12:41:00
신혼부부 수 및 평균 출생아수(그림=통계청)
신혼부부 수 및 평균 출생아수(그림=통계청)

작년 신혼부부 수는 138만 쌍으로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신혼부부의 가계 빚은 중앙값 8784만원으로 전년보다 12.9%나 증가했다.

◆ 2012~2016년 –3.7%, 2013~2017년 –4.9% 등 혼인건수 매년 감소 추세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7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한 후 국내 거주하면서 결혼 관계를 유지 중인 신혼부부는 총 138만 쌍으로 2016년 143만 7천 쌍에 비해 4% 줄었다.

2012~2016년 –3.7%, 2013~2017년 –4.9% 등 혼인건수가 매년 감소되고 있는 추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남편과 아내가 모두 초혼인 부부가 110만 3천 쌍으로 전체의 80%, 부부 중 1명 이상이 재혼인 부부는 20%(27만 5천 쌍)로 재혼부부 비중은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함께 살고 있는 신혼부부는 전체의 86.9%(119만 9천 쌍)로 전년 대비 0.6%p 증가했고, 재혼부부의 별거 비율은 초혼부부보다 7.9%p 높았다.

초혼부부의 88.5%, 재혼부부의 80.7%는 동거하고 있고, 전년 대비 각각 0.7%p, 0.5%p 증가했다.

신혼부부의 거주 지역은 경기(27.0%), 서울(19.1%), 경남(6.5%) 순으로 많고,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사는 신혼부부는 전체의 52.1%에 달했다.

초혼은 세종(85.9%), 서울(85.6%), 대구(82.1%) 순으로 높았고, 재혼은 전남(27.0%), 제주(26.7%), 강원(26.4%) 순으로 높았다.

◆ 초혼부부 가족, 3명이 42%.. 출산 않은 부부 37.5%

초혼부부 가구의 가족 수는 3명이 가장 많고(41.8%), 재혼 가구는 2명(39.0%)이 가장 많았다.

초혼인 신혼부부 110만 3천 쌍 중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는 41만 4천 쌍(37.5%)으로 전년보다 1.2%p 증가했다.

초혼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8명(5년차 1.24명, 4년차 1.03명, 3년차 0.80명 2년차 0.53명)으로 전년 0.80명에 비해 감소했다.

자녀가 있는 확률은 아내 기준 30대가 66.6%로 가장 높고, 20대는 54.4%였다. 40대는 48.7%, 50대는 21.7%, 19세 이하는 3.3%로 무자녀 비중보다 낮았다.

출생아 수는 외벌이 부부(0.86명)가 맞벌이 부부(0.7명)보다 많았고, 주택 소유 부부(0.85명)가 무주택 부부(0.73명)보다 많았다.

초혼 신혼부부 자녀 중 만 5세 이하 영유아 총 85만 8천명에 대한 보육 형태는 가정양육 40만 9천명(47.7%), 어린이집(46%), 유치원(3.1%) 순이었다. 전년 대비 가정양육은 감소(-3.1%p), 어린이집 보육은 증가(1.6%p)했다.

◆ 신혼부부 83.3%가 금융권 가계대출.. 혼인연차 오랠수록 빚도 커져

한편, 초혼인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는 전체의 44.9%(49만 5천 쌍)로 전년 대비 0.4%p 증가했다.

1년차 51.3%, 3년차 43.2%, 5년차 41.8% 등 최근 혼인한 연차일수록 맞벌이 비중이 높았다.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이 있는 신혼부부는 83.3%로 전년 대비 1.3%p 증가했다. 신혼부부 5쌍 중 4쌍 이상이 가계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대출 잔액은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인 경우가 28.5%로 가장 많았고 대출 잔액 중앙값은 8784만원으로 전년 7778만원보다 12.9%나 증가했다.

혼인 1년차의 가계 빚은 평균 8000만원, 3년차 8686만원, 5년차는 9669만원으로 연차가 오래될수록 가계 빚 규모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 신혼부부의 금융권 가계대출잔액 구간 분포(그림=통계청)
초혼 신혼부부의 금융권 가계대출잔액 구간 분포(그림=통계청)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43.6%(48만 2천 쌍)로 전년 대비 0.5%p 증가했다.

1년차 신혼부부는 33%, 3년차는 44.2%, 5년차는 52.4%가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을 소유한 48만 2천 쌍의 주택공시가격은 1억 5천만원~3억원이 38.3%로 가장 많고, 6천만원~1억 5천만원(35.9%), 3억원~6억원(13.7%) 순이었다.

소유 주택 명의는 남편 단독소유가 58.7%, 아내 단독소유가 18.8%였다. 부부공동명의는 13.3%로 전년 대비 5.5% 늘었다.

부부 공동명의 비중은 1년차 8.8%, 3년차 13.3%, 5년차 15.6% 등 혼인연차가 오래될수록 높게 나타났다.

가장 주된 거처 유형은 아파트(66.1%)로 단독주택(16.6%), 다세대주택(10.8%)보다 많았다.

1년차 58.3%, 3년차 67.1%, 5년차 71.6% 등 혼인연차가 오래될수록 아파트 거주 비중이 높았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장성군, 목재문화체험장 건립

전남 장성군 목재기술위원회가 최근 군청 상황실에서 회의를 갖고 ‘장성 목재문화체험장’ 조성에 관해 논의했다.‘목재문화체험장’은

고흥군 덕흥보건진료소 준공

고흥군은 29일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덕흥보건진료소’를 신설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 덕흥보건진료소는 동일면 덕흥음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