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N] 11월 물가 상승률, 4년 연속↑

11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
쌀 23.8%, 토마토 44.4% 등 농축수산물 7.5% 올라
유류세 내렸지만 작년 같은 달보다 휘발유 5.1%, 경유9.1% 인상
2018-12-05 16:40:45
11월 소비자물가동향(그림=통계청)
11월 소비자물가동향(그림=통계청)

통계청이 4일 밝힌 ‘2018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른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3(기준 2015=100)으로 작년 같은 달 대비 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0.7%, 2016년 1.0%던 전년 동월 대비 11월 소비자물가는 2017년 1.9%에 이어 상승폭이 커지는 추세다.

생활물가지수는 2.1% 상승했다. 특히 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고, 식품 이외는 1.5%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도 1.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11월과 비교해 10.4%나 상승했다.

신선채소는 14.3%, 신선과실은 12.0% 올랐고 신선어개(생선, 해산물)도 2.5% 올랐다.

지출목적별로는 식료품과 비주류음료(5.4%), 교통(2.6%), 음식 및 숙박(2.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2.4%) 등 10개 부문이 올랐고, 보건(-0.2%), 통신(-1.9%)은 내렸다.

지출목적별 등락률(그림=통계청)
지출목적별 등락률(그림=통계청)

품목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은 7.5%, 공업제품과 전기·수도·가스도 1.5%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중 작년 같은 달 대비 토마토가 44.4%, 파는 35.6% 올랐다. 쌀은 23.8%, 현미도 25.5% 오르고 국산쇠고기도 3.1%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양파(-27.4%), 오이(-8.9%), 마늘(-5.6%), 블루베리(-6.4%) 가격은 내렸고, 달걀(-14.3%), 고등어(-6.3%), 돼지고기(-4.4%) 등도 하락했다.

정부의 한시적 유류세 인하정책으로 10월 대비 하락한 휘발유(-4.5%), 경유(-2.9%)는 작년 11월과 비교하면 5.1%, 9.1% 각각 상승했다.

빵(7.2%), 침대(14.3%), 구두(10.6%), 점퍼(3.9%) 등이 올랐고, 헤어드라이어(-21.7%), 믹서(-20.2%), 사진기(-15.1%) 등 가전제품과 건강기능식품(-5.7%), 휴대전화기(-1.9%) 등은 내렸다.

도시가스(3.5%), 상수도료(1.2%), 하수도료(7.0%), 지역난방비(0.5%) 등도 작년 같은 달보다 올랐다.

전세는 1.0% 올랐고 월세는 0.4% 내렸다.

외식 등 개인서비스는 2.5% 올랐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관리비가 4.0%, 해외단체여행비는 5.6%, 가사도우미료가 11.4%씩 올랐고, 학교급식비(-22.8%), 병원검사료(-14.7%0, 치과보철료(-2.6%) 등은 내렸다.

품목성질별 등락률(그림=통계청)
품목성질별 등락률(그림=통계청)

지역별로는 대구가 2.3%로 가장 높았고, 부산(2.2%), 대전·충남·충북·경북이 2.1%, 서울·강원· 전북 등이 전국 평균과 같은 2.0%를 기록했다. 제주는 1.1%, 울산은 1.2%로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그림=통계청)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그림=통계청)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장성군, 목재문화체험장 건립

전남 장성군 목재기술위원회가 최근 군청 상황실에서 회의를 갖고 ‘장성 목재문화체험장’ 조성에 관해 논의했다.‘목재문화체험장’은

고흥군 덕흥보건진료소 준공

고흥군은 29일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덕흥보건진료소’를 신설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 덕흥보건진료소는 동일면 덕흥음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