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우려 고조…추가 금리인상 더 빨라지나

원자재 가격 상승에 공공요금까지 들썩…"뛰는 물가에 기름 부어진 격"
2021-09-24 14:19:02
원자재 가격 상승에 공공요금까지 들썩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에 전기계량기가 설치돼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전기요금 인상으로 물가 부담이 더욱 커지면서 애초 11월~12월쯤으로 예상되던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상의 시기가 이 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주목된다.

24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내달 1일부터 적용되는 4분기 전기요금 최종 연료비 조정단가는 전분기(-3원) 대비 3.0원 오른 ㎾h당 0.0원으로 책정된다. 전기료 인상은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이다. 이에 따라 월평균 350㎾h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라면 전기료는 4분기에 매달 최대 1050원 오르게 된다. 액화천연가스(LNG), 유연탄, 유류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가는 연료비 가격 급등이 이번 인상의 배경이 됐다. 국제 유가의 경우 최근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대표적인 공공요금인 전기요금 인상이 오르면서 도시가스 등 다른 공공요금의 도미노 인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의 경우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는 홀수월마다 원료비 변동 요인이 ±3%를 초과하는 경우 상업용·발전용은 매월 자동으로 조정되지만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7월 이후 15개월째 동결돼왔다. 각종 공공요금 인상은 제조업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개월 연속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1.8.26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시기가 빨라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시장에선 애초 11월 금통위 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물가가 더 오를 경우 10월이라도 당장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상황에 따라 내년 3월 이전에 기준금리가 0.25%p씩 두 번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 역시 인플레이션 우려로 테이퍼링 등 유동성 회수 작업에 조만간 착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한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앞서 연준은 "진전이 예상대로 광범위하게 계속된다면 위원회는 자산매입 속도 완화가 곧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연준이 지속해온 매달 1200억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을 조만간 중단하거나 규모를 줄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금리인상 시기가 내년으로 당겨질 가능성도 내비쳤다.

아울러 집값 상승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리수준이 여전히 낮은 수준인데다가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유동성이 추가 공급 되고 있다는 점도 금리인상의 명분이 될 수 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뛰는 물가에 기름이 부어진 꼴로 한은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명분은 이미 충족됐다고 본다"며 "하지만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경우 코로나 타격으로 빚으로 연명해온 중소기업들이나 소상공인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은의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전기요금 인상에 금리까지 오를 경우 중소기업들의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달 금리인상 이후 중소기업중앙회는 "9월말 대출만기연장 종료와 기준 금리 인상이 겹치게 될 경우 중소기업의 87.0%가 기업애로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금리인상으로 아직 매출이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돼, 중소기업은 유동성 위기로 쓰러지고 은행도 동반 부실화되는 악순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