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 달걀값 잡힐까

기재·농림부 이어 공정위까지 달걀값 잡기에 투입
양계?유통업계 “조류독감 파동으로 수급 더딘 탓”
2021-08-03 16:03:52
지난 겨울 조류독감 파동 이후 폭등한 달걀값이 고공행진을 계속하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생산?유통 과정에 답합이나 부당가격 인상이 있었는지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조류독감 파동으로 달걀값이 금값이 된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가 생산?유통 과정에 답합이나 부당가격 인상이 있었는지 들여다보겠다고 밝히자 양계농가와 유통업자들이 산란계 수급이 원활치 못해 발생한 현상이라며 볼멘 소리를 하고 있다. 사진은 한 대형 마트에 진열된 달걀.

달걀값이 그야말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급기야 문재인 대통령이 나서 달걀 가격 안정화 지시를 하기에 이르렀다.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에 이어 공정거래위원회까지 투입되면서 계란값이 안정화될지 주목된다. 

하지만 양계농가와 달걀 유통업계에서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산란계 수급이 느린데다 수급 대책없이 대량 살처분을 강행한 정부의 잘못을 가리기 위해 자신들을 희생양 삼는 것 아니냐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제공하는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달걀값은 지난 1월 5923원에서 2월 7368원, 3월 7648원, 4월 7592원, 5월 7290원, 6월 7502원, 7월 7196원으로 지난해 평균 가격(5216원)보다 40%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의 '7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는 지난 7월 계란값이 전년 동월 대비 57.0% 급상승한 것으로 나온다. 

양계 농가와 유통업자들은 ‘금 달걀’의 원인으로 산란계 수급 부족을 꼽는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국내 산란계는 조류독감이 유행하기 전인 지난해 3분기에 7492만1212마리가 사육됐다. 조류독감으로 대량 살처분이 이뤄진 후인 올해 1분기에는 6211만62마리로 1280만마리가 감소했지만 올 2분기에는 6587만1384마리까지 늘었다. 하지만 조류독감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에는 여전히 900만마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조류독감 파동이 일었던 2017년과 비교를 해보면 조류독감 이후 산란계의 공급이 현저하게 느린 편이다. 2017년 당시에는 산란계용 병아리를 낳을 수 있는 종계(씨암탉)의 대규모 살처분이 이뤄져 산란계용 병아리를 수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올해 조류독감 파동에서는 종계의 살처분이 최소한에 그쳐 굳이 산란계용 병아리 수입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산란계용 병아리 수급역량은 월 최대 350만마리이지만 실제 노화한 노계의 폐기량을 제하고 나면 월 150만마리 수준이다. 앞선 2017년에는 종계에 대한 대량살처분이 이뤄져 산란용 병아리를 수입했고 당시 수입했던 산란계는 월 800만마리에 달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종계를 사육하는 농가의 반발이 커서 올해에는 2017년처럼 산란계용 병아리를 수입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게다가 2017년과 달리 우리나라와 수입위생조건 협약을 맺고 있는 미국과 캐나다 등의 국가도 조류독감 여파로 산란계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병아리 수입도 어려운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산란계 공급 부족으로 계란값이 치솟고 있지만 매월 350만마리의 산란계가 공급되고 있어 올 연말에는 달걀값이 안정될 것”이라며 “양계농이나 달걀 유통상 입장에서는 비싼 달걀값의 원인으로 자신들이 지목되는 것이 억울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