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매각 문제없나> ?' 깜깜이?밀실' 논란 확산

비공개에 인수가도 수정…캠코 매각 때는 공개 절차에 도덕성 검증까지
증흥건설 정창선 회장과 장남 정원주 부회장 뇌물 혐의로 검찰 기소
부당내부거래 비율 높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과태료 부과받기도
'불법에 감점' 적용하면 '비자금 유죄' 중흥 우선협상자 장담 어려워
노조 반발에 정창선 "나의 성실과 정직함 알게 되면 반대 안할 것"
2021-07-18 14:22:04
KDB인베스트먼트의 대우건설 매각절차에 대한 물음표가 커지면서 도덕성까지 평가했던 지난 2006년 캠코의 매각과 비교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중구 을지트윈타워 앞에서 열린 대우건설 매각대응 비상대책위원회 출정식 기자회견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대우건설 매각과정에 대한 물음표가 지속되고 있다. 노동조합은 '깜깜이?밀실 매각'이라고 강력 비판하고 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산은의 구조조정 작업을 대리하고 있는 자회사 KDB인베스트먼트(이하 KDBI)가 중흥그룹에 특혜를 준 것이 아니냐는 것이 비판의 골자다. 불투명한 매각절차가 발단이 됐다. 인수기업의 도덕성까지 평가했던 지난 2006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매각 때와 너무 비교된다는 지적이다. 

KDBI는 지난 5일 중흥건설을 대우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하지만 비공개로 매각 협상이 진행되고 이례적으로 KDBI가 중흥건설의 가격 수정 요청을 수용한 것을 두고 특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인수가격 수정으로 중흥건설은 인수자금 부담을 2000억원 가량 줄이게 됐지만 산은이 국고로 회수해야할 혈세은 그만큼 줄어들게됐다는 점에서 의구심의 강도는 높다. 중흥건설의 최종 인수가격은 2조1000억원으로, 산은이 대우건설에 투입한 3조원 대비 9000억원 가량 낮은 수준이다.

이번 매각은 지난 2006년 캠코 매각 과정과 비교된다. 당시 대주주였던 캠코는 공개입찰을 통해 대우건설을 매각했다. 채권단 보유주식(72.1%)중 50%+1주만 매각한다고 했다가 예비입찰안내서에 전량 매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대기업에 유리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특혜 시비가 일기도 했지만 절차 자체에 대한 잡음은 없없다. 인수전이 과열되면서 캠코가 제시한 조건을 놓고 각종 의혹과 논란이 불붙긴했지만 이번처럼 절차상 '깜깜이?밀실’ 논란은 없었던 셈이다.

특히 캠코는 매각 기준에 분식회계, 주가조작, 탈세 등으로 처벌받은 인수후보에 대한 감점제를 적용하면서 도덕성 검증도 강화했다. 혈세를 투입해 되살린 기업의 매각 기준으로는 필수조항이었다. 이후 한화그룹이 입찰을 포기하기도 했다.

만약 이를 KDBI의 매각에 적용한다면 중흥건설은 감점대상이 될 수 있다. 지난 2015년 증흥건설 정창선 회장과 장남 정원주 부회장은 전남 순천신대지구 개발과정에서 1000억원대 비자금 조성, 뇌물공여 등 혐의로 수사를 받았다. 정 회장은 경영퇴진과 건강상태 등의 이유로 기소유예 처분, 정 부회장은 2016년 2심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받아 풀려났다. 뇌물수수혐의로 기소된 최종만 전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도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 정 회장은 지난 2018년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에 오른 뒤에 뇌물을 받은 최 정 청장을 상근부회장에 임명했다.

또한 중흥건설은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서 부당 내부거래 비중이 최상위 기업으로 판명돼 과태료도 부과 받았으며, 호반?,반도건설 등과 같이 위장계열사를 설립해 공공공사에 '벌떼 입찰'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챙긴 부도덕한 기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국내 굴지의 건설사 대우건설을 인수하기 위한 기업으로는 기본적인 소양이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와도 할말은 많지 않은 셈이다.

정 회장은 대우건설 인수의지를 드러내면서 자신의 '성실과 정직함'을 강조했다. 지난 14일 광주상공회의소 기자간담회에서 "대우건설은 뛰어난 기술력과 훌륭한 인재가 있으나 그동안 주인 없는 회사로 경영상태가 좋지 않았다"며 "대우건설을 살리고자 인수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회장은 "인수가 마무리되면 노조는 물론 임원과도 만나 진심을 전할 계획이며 나의 성실과 정직함을 알게 되면 노조도 반대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KDBI가 매각기준 공개 등 투명성을 제고해 현재 제기된 불신을 해소해야한다는 지적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